1. 작품 클립이란?
문학 작품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교과서에 제시된 평면적 지식이 아닌 작품이 지닌 입체적 의미를 스스로 사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비상교육’에서 직접 제작한 영상입니다.
-
배경 지식 확장
작품의 시대적 배경과
창작 당시 사회적 상황에
대한 정보를 작품 자체에
집중하여 구성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황지우)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성석제)
-
작품의 의미 전달
문학 영역별 특성에 맞게
작품의 주제와 상징을 좇는
구성으로 작품이 주는 메시지를
짧고 강렬하게 전달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영랑)
가는 길 (김소월)
-
정확한 정보 전달
정확한 사실을 전달하여
감상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학생 주도적 사고가
가능하도록 구성
납작납작-박수근 화법을 위하여 (김혜순)
제망매가 (월명사)
-
흥미로운 영상 구성
사진, 영상, 샌드 아트,
일러스트 등 다양한
영상 자료와 효과를
활용하여 흥미 유발
사진+삽화(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애니메이션 (속미인곡)
2. 수업 활용 방법
| 수업 전 | 수업 후 |
|---|---|
|
|
|
3. 수록 작품 보기
-
속미인곡 (정철)
-
가는 길 (김소월)
-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영랑)
-
쉽게 씌어진 시 (윤동주)
-
눈물 (김현승)
-
납작납작 - 박수근 화법을 위하여 (김혜순)
-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성석제)
-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황지우)
-
정읍사 (작자 미상)
-
동동 (작자 미상)
-
제망매가 (월명사)
-
주몽 신화 (작자 미상)
-
임경업전 (작자 미상)
-
이생규장전 (김시습)
-
만흥 (윤선도)
-
산돼지 (김우진)
-
메밀꽃 필 무렵 (이효석)
-
태평천하 (채만식)
-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조세희)
-
광장 (최인훈)
-
흐르는 북 (최일남)
-
소년을 위로해 줘 (은희경)
-
파수꾼 (이강백)
-
허생전 (박지원)
-
자화상 (윤동주)
-
진달래꽃 (김소월)
-
첫사랑 (고재종)
-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윤흥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