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기획자
필요능력
글쓰기, 창의력, 예술시각능력, 논리력, 공간 지각력
학업적성
예술, 의사소통과 미디어, 컴퓨터와 전자공학
관련성격
혁신, 사회성, 꼼꼼함, 분석적 사고, 융통성
관련학과
게임(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응용소프트웨어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전자공학과
직업흥미
탐구형(I) + 예술형(A)
  • 탐구형 : 물리적, 생물학적 혹은 문화적 현상들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관찰하는 것을 즐기며, 상징적이고 체계적이고 창조적인 활동을 요하는 조사나 연구 활동을 선호한다.
  • 예술형 : 예술적 형태를 창조해내는 신체적, 언어적 활동이나 자유스러우며 체계화되지 않은 활동들을 선호한다.
전문가 인터뷰 게임 기획자 : 김현석(마이즈)
  1. 1. 게임 기획자는 어떤 직업인가요?

    게임 기획은 말 그대로 게임을 ‘기획’하는 일입니다. 집을 지을 때 여러 가지 건축 자재나 땅도 있어야 하지만 일단 도면이 있어야 하는 것처럼 게임을 만드는 일에도 설계가 필요합니다. 게임을 설계하는, 게임 설계도를 그리는 사람을 게임 기획자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게임 기획자가 만든 설계도를 따라서 그래픽, 프로그램 등 여러 직군의 사람들이 게임을 만들게 됩니다.
  2. 2. 그동안 어떤 종류의 게임을 기획했나요?

    게임 분야는 계속 변화하고 있어 CD 게임, 온라인 게임, 휴대폰 게임 등 굉장히 다양한 분야와 플랫폼의 게임을 만들었습니다. 개인 성향인데 한번 했던 장르는 하기 싫어서 RPG, 레이싱 게임 등 되도록 다양하고 넓게 개발하려고 노력했습니다.
  3. 3. 게임 기획자가 되겠다고 결심한 특별한 계기가 있나요?

    어릴 때 몸이 아파서 밖으로 나가 놀지 못해 놀이터에서 노는 친구들을 보면서 부러워했습니다. 그래서 나 대신 (친구들과) 놀아줄 친구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어느 날 ‘오락실’이란 곳에 가보니까 내 손의 움직임에 따라서 대신 놀아주는 친구들이 화면 안에 있는 거예요. 그때부터 ‘나는 이걸 해야겠다.’라고 생각했습니다. 게임 기획자 이미지
  4. 4. 게임을 제작하는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일단 제일 먼저 하는 것은 ‘기획’입니다. 기획에서 어떤 게임을 어떻게 만들지 설계하고, 설계한 내용에 따라서 그래픽 팀에서 캐릭터, 배경, 화면에 보이는 버튼 등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만듭니다. 그것을 기반으로 프로그램 팀에서는 그래픽 리소스들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마지막으로 사운드 팀에서 여기에 소리를 입힘으로써 게임이 개발됩니다.
    그렇다면 기획이 제일 처음에 들어가기 때문에 게임 기획자는 처음에만 일을 한다고 오해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기획자의 설계에 따라서 게임을 개발하기 때문에 기획자는 협업하는 사람들과 계속 조율하고 대화하면서 게임 개발의 처음부터 끝까지 관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5. 5. 게임을 기획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제가 기획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첫 번째는, 옛날부터 지금까지 동일하게 ‘재미’입니다. 게임은 재미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두 번째는 ‘영향력’입니다. 이 게임을 하는 누군가는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게임을 한 사람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싶고, 이 게임이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6. 6. 게임 기획할 때 필요한 아이디어는 어디서 얻는 편인가요?

    아이디어는 일상의 모든 경험에서 나온다고 생각해서 항상 새로운 경험을 하려고 합니다. 익스트림 스포츠일 수도 있고, 혹은 새로 나오는 영화나 만화, 드라마, 책 등 항상 새로운 것을 접하면서 현재 트렌드에 맞는 아이디어를 찾아가는 것 같습니다.
    사진: 김현석 게임 기획자 제공.(저자 특강 강연 현장)
  7. 7. 게임 기획자로서 기억에 남는 개발자나 작품이 있나요?

    일본에서 ‘게임의 신’이라 불리는 ‘미야모토 시게루’를 존경하고 동경하는데, ‘슈퍼 마리오’, ‘젤다의 전설’이라는 시리즈를 개발한 사람입니다. 다른 게임들은 점점 마니악해지고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주로 한 게임을 개발하는데, 이 분은 옛날부터 지금까지 대중적이면서도 처음 하는 사람들도 즐길 수 있는 게임을 기획합니다. 제가 추구하는 방향과 맞고, 고령의 나이에도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하는 분이라서 존경합니다.
  8. 8. 게임을 기획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요?

    기획할 때 가장 힘든 것은 커뮤니케이션(소통)입니다. 나의 설계에 따라서 사람들이 움직여줘야 하는데, 나랑 취향이 다르거나 같은 단어라도 다르게 해석하는 사람들이 있거든요. 그런 분들과 일할 때가 힘들고, 만약에 내가 의도한 대로 게임이 안 나왔다면 커뮤니케이션을 못한 기획자의 책임이 되기 때문에 이 부분이 가장 힘든 것 같습니다. 또한 프로그램, 사운드 등 다른 직군은 작업물이 눈에 보이지만 기획은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것이기 때문에 인정받기 힘들다는 부분도 있습니다.
  9. 9. 게임 기획자로서 보람된 순간은 언제인가요?

    종종 모르는 사람에게 메일이 오거나 게임 세미나나 전시회에 모르는 사람이 와서 인사를 할 때가 있습니다. 왜 인사를 하는지 물어보면 어릴 때 제가 만든 게임을 가지고 힘든 시기를 극복했다거나 혹은 제가 개발한 게임에 감동해서 게임 개발자가 되었다는 분들이었습니다. 그런 분들의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내가 누군가의 인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일을 하고 있구나.’라는 자긍심을 느낍니다.
  10. 10. 게임 기획자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요?

    이 얘기를 하면 학생들이 좋아할 것 같은데, 첫 번째는 게임을 많이 해야 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한 가지 오해를 할 수 있는 부분이 게임을 많이 하는 것은 좋은데 오래 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게임 한 가지를 오래 하면 그 게임이 무의식에 남아서 어떤 기획을 하든지 그 게임을 따라가게 됩니다. 그래서 되도록 다양한 게임을 많이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두 번째로 기본기를 익히려면 필수적으로 국어, 수학, 물리를 공부해야 하고, 그 외에 역사, 음악, 과학 등 다양한 분야를 학습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역사 게임을 만들어야 하는데 역사를 모르면 안 되고, 리듬 게임을 만드는데 음악을 모르면 안 되기 때문에 되도록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쌓아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요즘 게임 개발은 ‘게임 개발 엔진’이라는 프로그램을 활용합니다. 게임 개발 엔진 활용법을 익히는 것을 포함한 3가지 노력이 게임 기획자가 되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11. 정책 연구원 이미지

    11. 게임 기획자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한 말씀 해 주신다면?

    언젠가 여러분들이 만든 게임을 제가 직접 해 볼 수 있는 날이 오면 정말 행복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런 시기가 왔을 때, 저에게 찾아와서 이 인터뷰를 계기로 게임을 개발하게 됐다고 이야기해 준다면 그것 역시 큰 행복일 것 같습니다. 열심히 재미있는 게임을 많이 하고 더 재미있는 게임을 개발해 주시길 바랍니다.

게임 기획자가 되고 싶어 하는 이유를 듣고 정리해주세요.

게임 기획자가 되기 위한 적성, 흥미를 설명해주시고 필요할 경우 무료검사를 추천해주세요.

- 워크넷 청소년 진로검사 : https://www.work.go.kr/consltJobCarpa/jobPsyExam/youthInteDetail.do - 커리어넷 진로심리검사 : https://www.career.go.kr/cloud/w/inspect/student - 주니어커리어넷 : https://www.career.go.kr/cloud/j/main/home

게임 기획자에 대한 직업탐색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스스로 직업탐색을 진행하며 직업의 장단점, 현장의 모습, 일과, 업계 전망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내가 원하는 꿈과 직업의 본 모습이 잘 맞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가 주변에 있다면 만남을 가지며 조언을 받아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게임 기획자가 되기 위해 준비해야 할 활동을 조언해주세요.

- 체험활동 : 넷마블게임박물관 관람하기 - 학습활동 :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게임의 스토리와 특징, 재미있는 점과 아쉬운 점 정리해 보기, 나만의 게임 기획안 작성해 보기.(게임명, 기획 의도, 게임 방법, 캐릭터, 특징 등)
※ 비바샘 초등 > 샘스토리 > 슬기쌤의 SW·AI교실(https://e.vivasam.com/creative/edu/sw/list) 에서 게임 만들기 활동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교육 자료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