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소개 이미지
필요능력
글쓰기, 창의력, 시력, 읽고 이해하기, 듣고 이해하기, 추리력, 선택적 집중력, 논리적 분석
학업적성
국어, 사회와 인류, 역사, 예술, 심리, 지리, 의사소통과 미디어
관련성격
독립성, 혁신, 인내, 분석적 사고, 성취와 노력
관련학과
국어국문학과, 문예창작과, 아시아어문학과, 영문학과, 언어학과, 철학과
직업흥미
예술형(A) + 탐구형(I)
  • - 예술형 : 예술적 형태를 창조해 내는 신체적, 언어적 활동이나 자유로우며 체계화되지 않은 활동을 선호한다.
  • - 사회형 : 물리적, 생물학적, 문화적 현상에 호기심을 가지고 관찰하는 것을 즐기며 체계적이고 창조적인 활동을 요하는 조사나 연구 활동을 선호한다.
전문가 인터뷰 | 전민식 소설가
  1. 1. 소설가는 어떤 직업인가요?

    소설가는 글을 쓰는 사람이고요. 사회적 현상이나 인간의 욕망에 대한 이야기, 역사적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재해석해서 새로운 세계를 만들고, 이를 실제로 접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일종의 서비스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2. 소설가가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고등학교 때 문예부장을 맡아 도서관을 관리했어요. 문예부장을 하며 책을 많이 접하게 되었고 그때 책을 많이 읽었어요. 나도 내 가슴에 있는 이야기를 이 사람들처럼 적어 내서 남한테 읽히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소설가가 된 특별한 계기가 있다기 보다는 자연스럽게 소설을 쓰기 시작했던 것 같아요.
  3. 3. 소설을 쓰기 위한 소재는 주로 어디에서 얻나요?

    글 쓰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보다 약간 뛰어난 면모가 있다면 직관인데 제가 관찰하고 경험한 사람을 보며 ‘왜 그럴까?’라는 질문을 항상 해요. ‘저 사람은 왜 저런 직업을 가졌을까?’ 같은 질문을 하고 그 히스토리를 저만의 이야기로 상상해서 만들어 내는 거죠. 좋은 책을 통해 소재를 얻기도 합니다. 작가가 바라보는 세계를 나는 다르게 바라볼 수 있잖아요. 그것에 대해 생각하며 아이디어를 얻는 거죠. 그냥 우리의 모든 일상이 소재가 된다고 보시면 돼요.
  4. 소설가 이미지

    4. 소설가의 꿈을 포기하지 않은 원동력은 무엇인가요?

    장편 소설을 한 편 쓰려면 최소 1년이 걸립니다. 1년 공을 들여서 응모했는데 수상은 못 하지만 최종 심사까지는 계속 오르는 거예요. 만약 최종 심사까지 안 갔다면 ‘이 길이 내 길이 아닌가 보다’ 하고 포기했을 것 같아요. 그런데 매년 최종 심사에 오르는 거예요. 세상이 저에게 신호를 계속 줬던 것 같아요. “소설가의 꿈을 버리지 말고 가라.” 이런 신호를 주고 세상이 저를 단련시켰던 것 같아요.
  5. 5. 소설을 읽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요?

    인간이 유한적 존재다 보니 인간의 힘으로 극복할 수 없는 여러 상황을 만나게 되거든요. 그런 순간 자신에게 ‘내가 왜 현재에 존재할까?’ ‘내가 지금까지 살아온 삶은 어떤 의미일까?’ 같은 질문을 하게 됩니다. 그런 질문에 답을 줄 수 있는 게 많지 않아요. 내가 좋아하는 작가의 책을 읽으며 자신을 한번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게 하는 매체가 소설이거든요. 소설을 읽는다는 건 그런 의미죠. 나를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는 것.
  6. 6. 소설 <강치>*를 통해 무엇을 말하고 싶었나요?

    ‘내가 살아가고 있는 삶의 터전과 나와의 관계에서 내 삶의 터전을 지키려는 인식이 어떻게 발생할 수 있을까?’ 그리고 ‘나와 나라는 어떤 관계일까?’, ‘내가 일제강점기를 겪었다면 독립운동가와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행동할 수 있었을까?’라는 질문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안용복이라는 인물을 통해서요. 그 게 소설을 관통하는 주요 내용이죠. *소설 <강치>
    조선 숙종 때 일본으로 건너가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땅임을 확인 받은 백성 ‘안용복’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한 전민식 작가의 소설.
  7. 소설가 이미지

    7. 소설가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꼭 필요한 과정은 없는 것 같고 다만 대학에서 문예창작과를 전공하면 소설가라는 직업에 빨리 접근할 수 있죠. 그런데, 이제 와서 생각해 보니 관련 학과가 아닌 다른 학과를 선택하는 게 훨씬 도움이 되는 거 같아요. 오히려 다른 학과를 선택하고 나중에 글을 쓰게 되면 내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8. 소설가 이미지

    8. 소설가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한 말씀해 주신다면?

    책 읽는 것을 좋아하고 상상하는 것, 공상하는 것도 좋아하고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도 좋아한다면 원천적 콘텐츠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소설가라는 직업은 굉장히 매력적이에요. 재능이 없어도 열심히 노력할 각오가 되어 있는 친구들은 작가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소설가가 되고 싶어 하는 이유를 듣고 정리해주세요.

소설가가 되기 위한 적성, 흥미를 설명해주시고 필요할 경우 무료검사를 추천해주세요.

워크넷 청소년 진로검사 : https://www.work.go.kr/consltJobCarpa/jobPsyExam/youthInteDetail.do

소설가에 대한 직업탐색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스스로 직업탐색을 진행하며 직업의 장단점, 현장의 모습, 일과, 업계 전망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내가 원하는 꿈과 직업의 본 모습이 잘 맞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가 주변에 있다면 만남을 가지며 조언을 받아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소설가가 되기 위해 준비해야 할 활동을 조언해주세요.

- 체험활동 : : 다양한 소설 읽어 보기, 글쓰기 대회 참가해 보기, 소설 써 보기, 좋아하는 소설 필사해 보기
- 학습활동 : 소설의 구성 요소 학습해 보기, 좋아하는 소설가의 작품 분석해 보기, 한국어능력시험 공부해 보기